모바일 마케팅 콘텐츠 라이브러리 | AppsFlyer https://www.appsflyer.com/ko/resources/ Attribution Data You Can Trust Mon, 09 Sep 2024 18:02:50 +0000 ko-KR hourly 1 https://wordpress.org/?v=6.5.5 https://www.appsflyer.com/wp-content/uploads/2020/07/favicon.svg 모바일 마케팅 콘텐츠 라이브러리 | AppsFlyer https://www.appsflyer.com/ko/resources/ 32 32 이커머스 앱 마케팅 현황 – 2024 에디션 https://www.appsflyer.com/ko/resources/reports/ecommerce-app-marketing/ Wed, 10 Jul 2024 18:59:34 +0000 https://www.appsflyer.com/resources//%ec%9d%b4%ec%bb%a4%eb%a8%b8%ec%8a%a4-%ec%95%b1-%eb%a7%88%ec%bc%80%ed%8c%85%ec%9d%98-%ed%98%84%ed%99%a9/

본 문서에 담긴 모든 결과는 개인정보를 익명처리하여 개인이 식별되지 않도록 집계한 집약형 데이터에 근거합니다. 통계적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엄격한 볼륨 임계값과 방법론을 따르며, 이러한 조건이 충족될 때만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 지출은 논오가닉 인스톨 수에 CPI를 곱한 후, data.ai의 국가별 쇼핑 앱 시장 점유율 데이터를 반영하여 계산합니다. iOS 논오가닉 인스톨은 SKAdNetwork 인스톨에 앱스플라이어의 Single Source of […]

The post 이커머스 앱 마케팅 현황 – 2024 에디션 appeared first on AppsFlyer.

]]>

이커머스 앱 마케팅 현황 – 2024 에디션

1

주요 인사이트

2023년 4분기 소비자 지출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 iOS는 경기 회복에 힘입어 2023년 4분기에 인앱 구매가 21% 급증하며 시장의 성장을 주도했고, 이는 안드로이드의 9% 성장률을 앞질렀습니다.
첫 앱 구매자의 60%가 재구매로 이어져 앱 설치자 중에서 앱 구매자로 전환되는 비율이 10% 미만인 점을 고려하면, 첫 구매를 확보하는 것이 충성도를 높이는 데 가장 중요합니다. 첫 구매자 중 추가 구매(최소 1회)로 이어지는 비율이 60%에 달하기 때문입니다.
iOS, 2023년 UA 및 리마케팅 광고 지출에 66억 달러 편성 iOS의 광고 예산은 2023년 43% 증가하여 같은 해 지출이 18% 감소한 안드로이드와 극명한 대조를 이뤘습니다. 특히 미국 시장에 편성된 예산은 iOS에 12억 7,000만 달러, 안드로이드에 12억 3,000만 달러로 국가 중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3년 4분기 iOS 논오가닉 인스톨(NOI)이 전년 동기 대비 60% 급증 경기가 회복되고 측정에 대한 신뢰가 높아지면서, iOS에서는 광고 지출과 그에 따른 마케팅에 의한 인스톨이 증가한 반면, 안드로이드의 논오가닉 인스톨은 CPI 하락으로 인해 21% 증가 에 그쳤습니다.
아시아 시장의 대형 브랜드들이 2023년 2분기 및 3분기 iOS 논오가닉 인스톨 125% 성장 견인 각 브랜드의 대규모 마케팅은 구매력 높은 국가의 시즌별 iOS 인스톨 패턴에 변화를 일으켰고 이는 일본, 브라질, 사우디아라비아로 확대되어 2024년 1분기 논오가닉 인스톨이 급증했습니다.
2023년 4분기 페이드 리마케팅 매출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 또 다른 경기 회복의 신호라고 볼 수 있습니다. 페이드 리마케팅은 모든 플랫폼에서 증가하고 있으며, 4분기에 iOS(+35%)는 안드로이드(+17%)에 비해 두 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또한 2024년 1분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했습니다.
2

서문

2023년 경기 성장 이후 충성도 높은 고객 유치가 열쇠

모바일 앱 커머스는 2023년에 iOS 유저들 사이에서 특히 크게 증가했습니다. 앱 다운로드, 리마케팅 전환, 거래량 등 다양한 지표에서 눈에 띄는 성과가 있었으며, 이러한 추세는 2024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광고 지출은 특히 iOS에서 크게 증가했으며, 안드로이드의 경우 대부분 국가의 광고 지출이 증가했지만 상위 2개 시장 인도와 브라질에서는 오히려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iOS 광고 지출의 증가에는 세 가지 주요 요인이 작용했습니다:

  1. 전반적인 경기 회복으로 인해 소비자 및 광고 지출이 증가했습니다.
  2. 데이터 프라이버시 시대에 측정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일반적으로 구매력이 높은 아이폰 유저에 대한 마케팅에 이목이 다시 집중되고 있습니다.
  3. 아시아 모바일 앱은 광고 캠페인에 많은 투자를 함으로써 구매력 높은 시장에서 인스톨을 성공적으로 증가시켰고, 이를 통해 충성 고객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온드 미디어(owned media)에서 페이드(paid) 리인게이지먼트 캠페인으로의 전환 역시 전년도에 비해 크게 달라진 점입니다.

이커머스 앱 다운로드 및 사용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마케터들은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전략을 새로 짜고 마케팅 예산도 확대하고 있습니다. 2024년 연말 시즌이 다가오면서 이커머스 시장이 점점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브랜드가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변화를 따라잡아야 합니다.

이커머스 앱 마케팅 현황 2024년 에디션에서는 이커머스 브랜드가 이러한 변화에 성공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최신 트렌드를 확인하고, 수익과 유저생애가치 증대에 초점을 맞춘 유저 확보 및 리마케팅 전략을 실행해 보세요.

데이터 샘플 *

1,600 국가별 월 인스톨수가 3,000건 이상 인 이커머스 앱 (마켓플레이스 및 식료품 제외)
46억 2022년 10월부터 2024년 4월까지 이커머스 앱의 총 앱 다운로드 수
215억 2022년 10월부터 2024년 4월까지 리마케팅 전환 (페이드 190억, 온드 25억)

본 문서에 담긴 모든 결과는 개인정보를 익명처리하여 개인이 식별되지 않도록 집계한 집약형 데이터에 근거합니다. 통계적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엄격한 볼륨 임계값과 방법론을 따르며, 이러한 조건이 충족될 때만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3

중요 트렌드

소비자 지출은 꾸준히 증가세

2022년 힘든 시기 를 보낸 모바일 이커머스는 2023년 3월부터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4분기에 인앱 구매(IAP)가 전년 대비 15% 크게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성장 모멘텀은 2024년 1분기(+21%)에도 이어졌습니다. 이러한 증가 추세는 모바일 커머스가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다는 분명한 증거입니다.

타임라인을 살펴보면, 쇼핑 패턴이 시즌별로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4분기에는 시즌에 맞게 IAP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패턴은 iOS와 안드로이드 모두 꾸준히 나타나고 있으며, 매년 연말에 소비자 지출이 예측한대로 정점을 찍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흥미롭게도 2023년 봄에는 영국과 프랑스와 같은 특정 시장에서 IAP가 이례적으로 급증했습니다. 이러한 증가는 일부 대형 아시아 앱의 마케팅 노력과 그에 따른 유저 인게이지먼트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비록 일시적이기는 하지만 주목할 만한 소비자 지출 증가로 이어졌으며, 이는 올인 페이드 마케팅의 강력한 영향을 보여줍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피크 시즌 동안 두 플랫폼에서 모두 결제 유저 비중이 12% 증가했으며, 특히 브라질, 미국, 인도(안드로이드 기준)에서 두드러졌습니다.

플랫폼별 인앱 구매 수익 추이 (표준화됨)


충성 고객 확보에 가장 중요한 첫 구매

앱을 설치한 사람들 중 구매자의 비중을 보면 이커머스 분야의 경쟁이 얼마나 심해졌는지 더욱 분명하게 알 수 있습니다. 많아야 10명 중 1명만이 구매로 전환되며 이 역시도 피크 시즌의 iOS에만 해당됩니다. 비수기에는 5% 이하로 떨어지기도 합니다.

그러나 한 번 전환이 이뤄지기만 하면, 60%에 가까운 유저가 충성 고객(최소 두 번 이상 구매)으로 바뀌게 됩니다. 전환된 유저는 높은 수준의 관심과 인게이지먼트를 보여준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모바일 앱이 강력한 충성도를 기반으로 하는 채널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마케터들은 구매 시간을 철저하게 측정해야 합니다. 데이터에 따르면 유저는 인스톨 후 평균 3.6일이 지나서 처음으로 구매했고, 이런 패턴은 iOS와 안드로이드 간에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따라서 리마케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인스톨 후 첫 주에 집중하여, 앱을 설치한 유저 중 최대한 많은 비율을 구매자로 전환시켜야 합니다. 이 전략에 따라 마케터들은 1일차와 1주차에 각각 전환율(유저가 리마케팅 광고를 클릭하고 앱을 실행한 경우) 40%, 75% 이상을 목표로 하며 가장 많은 힘을 싣고 있습니다. 평균적으로 인스톨 후 30일 이내의 기간 동안, 최초 페이드 리마케팅 전환은 앱을 설치하고 2.5일 후에 발생합니다.

그런 다음 인스톨 후 10일이 지나면 두 번째 구매가 발생하는 패턴 역시 관찰됐습니다. 두번째 구매도 확보하고자 한다면, 마케터는 이 기간 동안 리마케팅 투자를 더 늘릴지 여부를 검토해야 합니다.

플랫폼별 구매자 점유율 (인스톨 후 30일 이내)

구매 횟수별 구매자 점유율 및 구매 시간


주요 시장에서 대규모 iOS 유저 유입

아시아를 기반으로 한 일부 대형 앱은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주요 서구 시장에서 야심차고 성공적인 마케팅 캠페인을 추진하여, 연말 쇼핑 시즌에 앱 인스톨이 급증하는 기존 마케팅 패턴에 과감히 도전을 제기했습니다.

2024년 1분기에 접어들면서 서구 시장에서 인기를 끌었던 앱이 일본, 브라질, 사우디아라비아에서도 인기를 끌기 시작하면서 그 기세는 꺾이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트렌드가 나타났던 시장에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는데요, 바로 iOS 유저의 지출이 전반적으로 더 많다는 점입니다.

아시아 앱은 또한 기존 앱에 비해 재구매 고객을 더 많이 유치했지만, 아마존이나 월마트와 같은 거대 기업을 따라잡기 위해서는 아직 갈 길이 먼 상황입니다.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를 위해 채택한 저가 제품 전략의 성과가 과연 지속적인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을까요? 저가 제품의 신뢰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긴하지만 특가 상품의 매력은 계속해서 사람들을 끌어모으고 있습니다. 그 결과, 가격 이점과 브랜드 충성도 간의 대결 구도가 형성되는 상황입니다.

남은 2024년을 내다봤을 때, 이 대결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중요한 4분기 쇼핑 시즌을 앞두고 있는 지금, 이러한 아시아 앱들이 자리를 잡으며 리테일러들에게 큰 수익을 안겨줄 것으로 기대되는데요. 경쟁이 치열해지면 소비자의 관심뿐만 아니라 미디어 비용 역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많은 시장 참여자들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심지어는 제품군이 크게 다른 간접 경쟁사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플랫폼별 인스톨 추이 (표준화됨)


iOS 43% 증가로 66억 달러의 광고 지출 발생

2023년 글로벌 앱 시장에는 막대한 자금이 유입되었습니다. 총 앱 인스톨 지출액은 66억 달러에 달했으며, 디바이스 시장 점유율은 15~20%에 불과한데 반해 iOS 플랫폼이 29억 달러로 선두를 차지했습니다.

그러나 안드로이드와 iOS 간의 예산 배분 방식은 크게 다릅니다. 안드로이드의 경우 2022년부터 2023년까지 광고 지출이 18% 줄었지만, iOS는 43%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지출 증가는 CPI 상승으로 이어졌고 이는 iOS 마케터에게 있어 인스톨 비용이 전반적으로 높다는 것을 의합니다.

앱 지출의 지역별 현황을 살펴보면 미국과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서유럽 주요 국가가 글로벌 시장을 장악하고 있습니다. 이는 주로 이러한 지역의 CPI가 높기 때문인데, 인도와 같은 신흥 시장의 CPI가 훨씬 낮은 것과는 극명한 대조를 이룹니다.

이와 같은 iOS 광고 지출의 급증은 플랫폼에 대한 마케터들의 강한 자신감의 표현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iOS 유저는 보통 소비 규모가 더 큰 경향이 있고 iOS 플랫폼은 프리미엄 환경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iOS 광고에 투자하는 것이 좋은 전략이라고 여기는 시선이 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의 변화는 양질의 인게이지먼트를 끌어낼 수 있는 iOS 플랫폼의 역량을 더욱 부각시킬 것이며, 도달 범위와 영향력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앱 개발자와 광고주에게 우선 순위 플랫폼으로 자리잡게 될 것입니다.

2023년 국가별 앱 인스톨 광고 지출 *  

* 지출은 논오가닉 인스톨 수에 CPI를 곱한 후, data.ai의 국가별 쇼핑 앱 시장 점유율 데이터를 반영하여 계산합니다. iOS 논오가닉 인스톨은 SKAdNetwork 인스톨에 앱스플라이어의 Single Source of Truth(SSOT)를 통해 중복 제거를 수행한 후, 제공되는 계수를 곱한 기존 어트리뷰션 인스톨을 기반으로 계산됩니다.

플랫폼별 글로벌 CPI 추세 (USD)


경기 상승에 따른 리마케팅 증가, iOS에서도 나타나

2023년 내내 경제가 회복되면서 마케터들은 광고에 더 많은 비용을 투자할 의향을 드러냈습니다. 예산 부족으로 곤란을 겪은 브랜드들이 비용 효율적인 온드 미디어 채널에 리마케팅을 집중시켰던 2022년과 달리, 지난해에는 경제 상황이 나아지면서 페이드 리마케팅으로 전환하는 경향이 두드러졌습니다.

이러한 경향은 최근의 광고 예산 증가와 경기 회복을 반영하며, 결과적으로 광고주가 오디언스와 더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기회와 이로 인한 페이드 마케팅 전환의 증가를 뜻하기도 합니다.

iOS 리마케팅 환경 역시 유저 레벨 데이터의 발전으로 인해 큰 변화를 겪었습니다. iOS 14.5의 출시와 엄격한 개인정보 보호 조치로 인해 2023년 3월까지 리마케팅 전환율이 65% 급감했습니다. 하지만 하반기에는 전환율이 103% 상승하는 놀라운 반전을 보였습니다.

IDFA의 부재에도 iOS의 리마케팅은 여전히 대형 플랫폼에서 효과가 있으며, 매칭률(플랫폼이 인식할 수 있는 유저 수)에 따라 결과가 달라집니다. IDFA 활용에 동의한 유저(약 25%) 데이터, 이메일 기록, 전화번호까지 합하면 매칭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iOS에서 리마케팅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유저의 동의를 얻어 타사 데이터 신호를 수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유형별 리마케팅 전환 (표준화됨)


세분화된 인사이트: AI의 새로운 개척지

현재 앱 마케팅에서는 개인정보 보호가 어느때보다 중요하지만 데이터가 부족하다는 점은 모두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이커머스 마케터의 창의성이 너무나도 중요해졌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법이 강화되어 퍼널 하단 데이터를 확보하기가 더 어려워졌지만, AI 덕분에 이제 고객 여정의 시작 단계에서도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마케터들은 이 초기 단계의 퍼널 상단 데이터를 활용하여 텍스트, 색상, 배경과 같은 크리에이티브 요소의 세부적인 부분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크리에이티브 뉘앙스의 영향력을 측정할 수 있는지 여부는 업계의 판도를 바꿀만큼 중요해졌습니다. AI를 사용하면 광고의 세부 사항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어떤 요소가 가장 효과적인지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세분성의 반격”라고도 할 수 있죠. 이 접근 방식을 통해 마케터는 장면 유형부터 개별 디자인 요소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매우 치밀하게 분석해 무엇이 성과를 높이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비게임 앱 데이터에 따르면 UGC가 포함된 광고의 경우 22% 더 높은 노출 1,000회당 인스톨(IPM)을 보인다고 합니다. 또한 실제 영상이 포함된 광고는 애니메이션이 포함된 광고보다 15% 더 높은 성과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렇듯 측정에 대한 세분화된 접근 방식을 수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크리에이티브 분석을 통해 얻은 디테일한 인사이트는 마케터에게 전략을 강화할 수 있는 강력한 기반을 제공한다는 점을 잊지마세요.

미디어 유형별 비게임 IPM: AI 기반 장면 분석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는 리테일 미디어

리테일 미디어가 큰 호황을 맞으며 광고주들이 리테일 미디어 네트워크(RMN) 지출을 늘릴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eMarketer는 2024~2028년 리테일 미디어 광고 지출이 두 배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지만, 성장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정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73%에 달하는 광고주들이 향후 1년 내에 RMN 예산을 늘릴 계획이라고 답할 정도로 리테일 미디어 채널에 대한 강한 신뢰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디지털 광고 지출의 1/6은 리테일 미디어가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리테일 미디어가 급성장한 비결은 무엇일까요? 신뢰도 높은 방식으로 개인정보 보호 규정을 준수하며 퍼스트 파티 데이터를 관리, 활용 및 수익화할 수 있는 스마트한 조합을 찾아냈기 때문입니다. 브랜드는 혁신적인 데이터 협업 시스템에 점점 더 익숙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세분화된 오디언스 생성, 최적화 및 측정을 위해 위험 부담 없이 자체적으로 보유한 가치 높은 데이터를 공유합니다.

퍼블리셔에게 있어 리테일 미디어는 퍼스트 파티 데이터를 직접 수익화할 수 있는 중요한 수익원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또한 광고주들에게는 다른 브랜드의 퍼스트 파티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사용해 다양한 플랫폼에서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엄청난 무기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모든 요인으로 인해 리테일 미디어의 영향력과 중요성이 폭발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것이죠.

eMarketer: 리테일 미디어 광고 지출 (글로벌, 2024-2028년)


4

전문가 제안

구글(Google)의 앱 광고 매니징 디렉터 Lee Jones와의 Q&A

현재의 경기회복을 고려했을 때, 2024 연말 시즌에 소비자 행동이 어떤 양상을 띨 것으로 예상하나요? 광고주에게는 어떤 영향을 끼칠까요?

소비자들의 구매 결정은 점점 더 신중해지고 있지만, 연휴 세일 시즌에 지갑을 여는 현상은 변함없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저희가 관찰한 결과, 연휴 시즌이 다가오면 소비자의 심리가 신중한 계획, 프로모션 조사, 결심, 집중이라는 4가지 단계로 움직인다는 점을 알 수 있었습니다.

– 신중한 계획: 2023년 10월부터 2024년 1월까지 발생한 구매의 약 3/4이 소비자의 사전 조사 후 이뤄졌습니다.
(구글/Ipsos, 글로벌 연말 시즌 쇼핑 연구, 2023년 10월~2024년 1월)

– 프로모션 조사: 연휴 시즌 소비자의 75%가 연휴 쇼핑 시즌 내내 프로모션 기회를 주의 깊게 지켜본다고 대답했습니다. (구글/Ipsos, 글로벌 소비자 지속 연구, 2023년 10월~2024년 1월)

– 결심: 작년에 소비자들은 연휴 쇼핑의 43%를 12월까지 완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구글/Ipsos, 글로벌 연말 시즌 쇼핑 연구, 2023년 10월~2024년 1월)

– 집중: 연말 시즌의 구매 1/5에서 구매 적립 포인트가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구글/Ipsos, 글로벌 연말 시즌 쇼핑 연구, 2023년 10월~2024년 1월)

각 심리 단계마다 소비자는 특정 니즈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 니즈가 충족되면 구매 결정에 확신을 갖게 되고 구매 의향도 강화됐죠. 이러한 소비자 심리를 마케팅 전략에 반영하려면 적절한 순간의 적절한 터치포인트에 주목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선 다양한 채널 믹스를 활용하고 귀하의 앱과 그 외 채널에도 집중해야 합니다.

예시:
– 신중한 계획: 93%의 리테일 기업에 따르면 소비자는 쇼핑 과정 중 최소 하나의 일을 브랜드의 앱 내 스토어에서 처리한다고 합니다. 앱을 광고하면, 조사 단계에 있는 소비자가 실제 행동을 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프로모션 조사/집중: 충성 고객층을 최적화하고 성장시키는데 리테일 브랜드의 앱이 굉장한 힘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소비자의 78%가 충성도에 기반해 앱을 다운받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충성도 기반 행동의 예로, 로열티/보상 포인트를 적립하거나 쿠폰과 할인 혜택을 받는 것, 잦은 구매, 독점적인 특별 혜택이 있습니다.

올해 마케팅은 AI의 급부상과 식별자의 부재, 규제 강화 등 수많은 변화로 인한 전환점을 맞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마케팅이 어떻게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까요?

한 명의 소비자가 여러 개의 디바이스를 사용하고,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는 점점 떨어지고 있습니다. 게다가 마케터들이 소비자에게 도달하는 것도 어려워지고 있죠. 이런 환경에서 브랜드와 고객 사이의 연결이 튼튼하다면 그야말로 경쟁 우위를 차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대다수의 리테일 기업은 앱 고객이 반복적으로 구매를 하는 경향이 있으며, 앱 고객이 아닌 고객보다 더 충성도가 높다고 대답(각각 82%, 85%)했습니다. (구글/칸타(Kantar), 미국, 캐나다, 영국, 독일, 일본,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브라질, 2022년 3~6월) 또한, 앱 고객들은 퍼스트 파티 데이터를 공유할 의향도 더 높다고 답했습니다. (Google/MTM, 성공적인 앱 사례, 2023)

따라서 지금이야말로 수익 증대를 견인하는 마케팅의 역할을 강화시키고 중요성을 증명해 보여야 할 때입니다. AI를 통해 고객과 연결되는 모든 터치포인트를 최적화하고 수익을 높여 장기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 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물론 수익성 기반의 성장을 촉진하고 브랜드를 만들어가는 마케터의 역할은 여전히 같을 것입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방식이 달라질 뿐이죠. 구글 AI의 성능은 우리가 어떤 데이터를 입력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우리가 AI를 활용하는 모든 채널과 모든 디바이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입니다. 고객과 더 많이 연결 될수록, 캠페인을 위한 연결과 개선점도 더 많이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고객과의 연결을 위한 노력이 결국 마케팅 성과에 반영될 것입니다.

연말 쇼핑 시즌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브랜드 입장에서 어떻게 광고를 준비해야 하며 어떤 구글 툴을 활용해야 할까요?

누구보다 앞서 나가고 ROI를 높이기 위해선, 종합적인 접근법으로 고객 여정을 이해해야 합니다. 즉, 웹과 앱, 데스크톱 등 모든 플랫폼에 걸친 오디언스와의 만남이 매끄럽게 진행되어야 합니다.

이를 방법론화하기 위해, 구글은 앱을 갖고 있는 모든 광고주들이 실행에 옮길 만한 3단계 프레임워크를 개발했습니다. 바로 측정, 최적화 그리고 성장입니다.

광고주가 구글의 딥 링킹, 입찰 및 추적 기능인 웹-to-앱 연결(W2AC)을 활용하면, 웹과 앱 캠페인을 통합한 전환 추적부터 앱 전환이 가진 힘을 실감하고 전환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광고주들과 함께 이 프레임워크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 설치 유도 앱 캠페인(App campaign for installs, ACi) 지출이 늘어나면서 W2AC를 사용하는 광고주의 웹 캠페인 ROI가 평균적으로 21%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구글 데이터, 글로벌 부문, 2022년 10~12월) 웹 캠페인과 함께 설치 유도 앱 캠페인을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여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리테일 광고주에게는 클릭 전환율(CTR)을 14% 향상시킬 수 있는(구글 데이터, 글로벌 부문, Feb 2023) 쇼핑 피드와 같은 구글의 리테일 전용 애즈 기능을 추천 드리고 싶습니다. 또한, 피크 시즌 동안에 캠페인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시즌성 조정 기능을 ACi와 함께 활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연말 시즌에 UA와 리인게이지먼트(페이드 & 온드)의 예산을 어떻게 나누는 것이 좋을까요?

다시 고객의 멀티 터치포인트 여정으로 돌아가서, 유저 유입과 인게이지먼트 캠페인이 따로가 아닌 함께 효과를 낼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고객은 채널을 보지 않습니다. 그러니 마케터들도 채널만 바라볼 필요가 없겠죠.

리테일 고객을 관찰한 결과, 저희는 설치 유도 앱 캠페인과 실적 최대화/검색 기능이 상호보완 효과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설치 유도 앱 캠페인은 앱 인스톨을 최적화 할 수 있는 유일한 구글 애즈 캠페인으로 유저 확보에 굉장히 효율적이라는 점이 입증되었습니다. 반면, 실적 최대화/검색 같은 웹 캠페인은 리인게이지먼트에 효과가 있으며, 웹-앱 연결과 같은 기능을 통해 모두 연결되고 딥링크돼 있을 경우 특히 효과적이었습니다.

두 가지 캠페인을 모두 사용해 긍정적인 효과를 본 사례로는 아디다스와 지스타 로우(G-star RAW)를 들 수 있습니다. 아디다스는 웹-앱 연결과 앱 캠페인에 투자한 덕분에 조직과 측정, 캠페인의 고립 문제를 해결하고 실적 최대화/검색 ROAS가 2.4배 향상됐습니다. 지스타 로우 역시 ACi에 투자하여 실적 최대화 ROAS가 450퍼센트 이상 개선됐습니다.

앱과 웹 마케팅을 따로 운영하는 기업에게 어떤 조언을 하고 싶나요?

팀들은 궁극적으로 KPI와 벤치마크를 달성하기 위해 일합니다. 따라서 팀을 하나로 모으기 위해서는 예산과 KPI도 함께 조정해야 합니다.

그 첫번째 단계는 KPI를 캠페인 유형(유입 vs 인게이지먼트) 혹은 채널별(웹 vs 앱)로 분류하지 않고 통합하는 것입니다. KPI를 통합하면 팀 간 상호협력이 촉진되고 종합적인 마케팅 전략을 성공시킬 수 있습니다.

KPI 통합의 성공 사례로 저희의 글로벌 리테일 고객을 예로 들 수 있는데요, 이 리테일 기업은 웹, 앱 모두에 걸친 APRU를 고려하여 앱과 웹의 성과 측정 방식을 완전히 바꿨습니다. 그 결과, 경제 상황이 어려운 와중에도 매출 원가는 낮추고, 앱을 통해서는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해 냈습니다. 이를 통해, 웹 대비 10배 높은 ROAS와 11배 높은 전환율을 이끌어낼 수 있었죠.

바자보이스(Bazaarvoice)의 성장 마케팅 매니저 Maya Levin와의 Q&A

UA와 리마케팅 활동을 결합할 때, 일반적으로 어떤 전략을 세우는지? 연휴 시즌에는 전략이 어떻게 달라지나요?

인플루언스터는 심플하게 그 어떤 특별 효과 없이, 브랜드 최고 가치를 보여주는 데에 집중합니다. 바로 “가입하고 무료 제품을 받으세요”, 정말 간단하죠?

연말 시즌도 크게 다를 것은 없지만, 무료 제품을 받아 선물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기도 합니다. 쇼핑을 간편하게 만드는거죠. 저희는 10월부터 진행 중인 프로그램과 앞으로 다가올 프로그램을 알리고, 고객에게 무료 제품을 최대한 많이 드릴 계획입니다.

리마케팅에 있어서는 저희 브랜드의 존재를 다시 알리고, 고객의 관심사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중시합니다. 그래야 고객의 관심에 맞는 무료 제품을 정확히 매치할 수 있으니까요. 예를 들어 고객이 최근 강아지를 입양했는데 관심사에 펫을 선택하지 않았다면, 정말 좋은 개사료를 놓칠 수도 있잖아요?

다가오는 연말 시즌에는 어떤 문제가 있을까요? 가장 잘 극복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매번 쇼핑 시즌이면 소비자의 관심을 얻기 위한 마케터 간의 전쟁이 시작됩니다. 그저 피드를 구경하고 싶을 뿐인 소비자는 끝없는 오가닉 포스트와 페이드 포스트, 페이드 포스트로 위장한 오가닉 포스트로 허우적 대는 모습이 반복되죠.

유저 유입은 연중 내내 이뤄져야 하며, 대량 판매나 전환이 아닌 신뢰를 쌓는 것에 포커스를 두어야 합니다. 4월에 고객과의 신뢰를 미리 쌓아놓고 11월에 브랜드의 존재를 다시 알린다면, 연휴 시즌에 고객의 관심과 참여를 확보하기가 훨씬 쉽겠죠.

미디어 다변화 전략에 대해서 얘기해 볼까요. 유저를 앱으로 유도하기 위해 채널 믹스를 활용하고 새로운 채널을 시도하나요?

저희의 무료 제품을 좋아하는 사람들을 타겟 오디언스로 삼지만, 사실 “모든 사람들”이 공짜를 좋아하죠. 이러한 저희 타겟오디언스에 맞춰, 메타(Meta), 틱톡(TikTok), 구글의 ACi와 같은 플랫폼 상에서 소셜 미디어 광고를 모두 통합합니다. 또한, 애플(Apple)과 구글 플레이의 스토어를 관리하고 오가닉 채널을 통해 팔로워가 항상 저희 제품을 기대하게 합니다.

모든 플랫폼을 하나 하나 커버하지는 않습니다. 대신에 타겟 페르소나를 만들고 그들을 어디서 찾아낼 수 있을지 생각해 봅니다. 그런 후 여러 채널과 메시징을 테스트해보고 브랜드 노출과 비용 대비 효과가 좋은 전환 지표를 제공하는 최고의 조합을 찾아내려고 노력해요.

고객의 충성도를 이끌어내는 것은 얼마만큼 중요한가요? 과거에 비해 더 중요해졌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고객 충성도는 항상 최우선 목표였고 앞으로도 그럴 것입니다. 로열티는 곧 신뢰를 의미합니다. 솔직하고 공정하며 회원을 우선시하는 브랜드로 인식된다면, 회원들이 그 브랜드를 계속 선택할 뿐만 아니라 브랜드를 지지하고 주변 사람들에게도 추천할테니까요.



크리에이티브 디자인과 측정에 있어서 가장 큰 트렌드는 무엇일까요? 어떤 크리에이티브 유형이 가장 효과가 있었나요?

저희는 모든 이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클래식한, 유행을 타지 않는 크리에이티브를 크게 선호합니다. 저희 제품을 선보이고 그 제품으로 인해 얼마나 삶이 더 나아질 수 있는지를 보여줄 수 있는 영상을 예로 들 수 있겠네요. 무료 제품으로 가득찬 택배 박스나 사랑하는 이에게 특별한 것을 선물하는, 그런 삶을 행복하게 만드는 작은 순간들을 보여주고 싶습니다.

크리에이티브의 성과를 측정하고 다음 크리에이티브에 대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 앱스플라이어와 BI툴, 믹스패널(Mixpanel)과 같은 마케팅 플랫폼에서 얻은 인사이트를 하나로 통합시킵니다. 이를 통해 크리에이티브 상황을 360도를 다 둘러볼 수 있는 듯한 넓은 시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크리에이티브와 측정, 최적화를 위해 AI 툴을 사용하나요? AI 활용에 어떤 단점이 있으며 어떤 부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까요?

이제 AI는 어느 분야에서나 볼 수 있고, 제대로 사용하기만 한다면 축복과 같은 존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AI를 최대한으로 활용하려면 AI를 일상업무에 통합시키고, 상위 퍼널 지표부터 하위 퍼널 지표, 광고 성과, 앱 사용 등 모든 것에 관해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공급해야 합니다. 가장 건설적인 조언을 줄 수 있는 최고의 친구로 만들기 위해 훈련을 시켜야 하죠.

과거에 연휴 캠페인을 진행한 적이 있다면, 결과를 분석하고 전년 대비 동향을 추적하고, 강점과 약점을 찾아내세요. 그 로데이터로 AI 분석도 실시 해야겠죠. 비슷한 결과에 도달할 수도 있고 새로운 테스트 기회를 찾아낼 수도 있을 겁니다.

대신 AI를 광고 생성을 위한 임시 방편으로 쓰면 안됩니다. “인플루언서 가입하면 뜨는 무료 마스카라 광고 원고 만들어줘”라고 AI에게 부탁한다면 물론 눈길을 사로잡을 만한 괜찮은 결과물을 뱉어내긴 할겁니다. 그러나 그 결과물이 과연 인사이트에 기반한 것일까요? 과연 우리 브랜드 오디언스에 적합할까요?
5

핵심 요약

Background
현명한 마케팅 결정은 더 나은
데이터로부터 발생합니다.

The post 이커머스 앱 마케팅 현황 – 2024 에디션 appeared first on AppsFlyer.

]]>
앱 마케팅 광고 크리에이티브 현황 리포트: 2024년 에디션 https://www.appsflyer.com/ko/resources/reports/creative-optimization/ Thu, 06 Jun 2024 14:38:57 +0000 https://www.appsflyer.com/resources//%ec%95%b1-%eb%a7%88%ec%bc%80%ed%8c%85%ec%9d%98-%ea%b4%91%ea%b3%a0-%ed%81%ac%eb%a6%ac%ec%97%90%ec%9d%b4%ed%8b%b0%eb%b8%8c-%ed%98%84%ed%99%a9-2024%eb%85%84-%ec%97%90%eb%94%94%ec%85%98/ The state of ad creative in app marketing 2024 edition - Featured image

AI의 시대가 도래하여, 그 어느 때보다 크리에이티브가 중요해지고 생성형 AI가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구상, 제작에 혁신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하지만 마케터들은 AI를 통해 세분화된 크리에이티브 측정 및 최적화를 활용하여, 승자독식의 경쟁에서 크리에이티브 승자를 가려낼 수 있습니다. 앱스플라이어의 AI가 2,000개 앱에서 22만 개의 크리에이티브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밝혀낸 크리에이티브 성과에 대해 알아보세요. 리포트 주요 내용:

The post 앱 마케팅 광고 크리에이티브 현황 리포트: 2024년 에디션 appeared first on AppsFlyer.

]]>
The state of ad creative in app marketing 2024 edition - Featured image

AI의 시대가 도래하여, 그 어느 때보다 크리에이티브가 중요해지고 생성형 AI가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구상, 제작에 혁신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하지만 마케터들은 AI를 통해 세분화된 크리에이티브 측정 및 최적화를 활용하여, 승자독식의 경쟁에서 크리에이티브 승자를 가려낼 수 있습니다.

앱스플라이어의 AI가 2,000개 앱에서 22만 개의 크리에이티브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밝혀낸 크리에이티브 성과에 대해 알아보세요.

리포트 주요 내용:

  • 미디어 유형 및 업종별 IPM, CPI 및 비용 벤치마크 점유율
  • AI 기반 성과 분석: UGC, 게임플레이, 애니메이션/실사 영상, 최적의 조합 + 최적의 동영상 길이
  • 아래 기업의 주요 전문가들이 참여했습니다:

The post 앱 마케팅 광고 크리에이티브 현황 리포트: 2024년 에디션 appeared first on AppsFlyer.

]]>
크리에이티브 앱 최적화 현황 리포트 – 2024년 에디션 https://www.appsflyer.com/ko/resources/reports/gated/state-of-creative/ Thu, 25 Apr 2024 11:42:42 +0000 https://www.appsflyer.com/resources//state-of-creative/ The post 크리에이티브 앱 최적화 현황 리포트 – 2024년 에디션 appeared first on AppsFlyer.

]]>

크리에이티브 앱 최적화 현황 리포트 – 2024 에디션

다음 기업과 함께 합니다:
1

주요 인사이트

2%의 크리에이티브가 전체 예산의 68%를 차지합니다. 앱 크리에이티브에서 오로지 2%가 예산의 68%를 차지하며, 단 10%의 광고에 90%의 예산이 쓰입니다.
소셜 미디어에서 UGC를 사용한 비게임 광고의 IPM 22% 증가 UGC는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 기본 환경에서 비게임(+ 22%) 및 게임(+12%) 앱을 대상으로 효과가 가장 좋았습니다. 실제 영상은 비게임 광고의 경우 애니메이션 광고보다 IPM이 15% 더 높았습니다.
논-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UGC가 없는 게임 광고의 경우 IPM 20% 증가 게임 크리에이티브는 UGC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IPM이 20% 더 높았습니다. 애니메이션 광고는 실제 영상이 있는 크리에이티브보다 IPM이 26%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이퍼캐주얼 게임, 애드 네트워크에서 48 IPM 돌파 게임 장르는 크리에이티브로 소비자의 관심을 유도하여, 애드 네트워크에서 47.6 IPM(노출 1,000회 당 인스톨)으로 다운로드 기록을 올리는 성과를 이뤘습니다. 한편, RPG 게임은 3.1 IPM으로 정체돼 있습니다.
30일차 리텐션 6%를 보인 장면 유형(scene types) 결합 광고 UGC, 게임 플레이, 애니메이션과 애드 네트워크의 실제 영상이 결합된 비디오 게임 광고의 경우 30일차 리텐션은 6%를 기록했습니다.
긴 동영상 광고의 리텐션 30% 향상 SNS에서 15초 이상의 게임 동영상 광고는 30일차 잔존율이 30% 더 높았습니다.
2

서문

AI가 주도하는 2024년 광고 크리에이티브

광고 크리에이티브의 AI 시대가 도래했습니다. 이전의 전통적인 광고의 가치와 생성형 AI가 혼합되면서 최근 몇 년간 광고에서 크리에이티브의 역할이 크게 커졌습니다. 이러한 융합은 아이디어 구상, 컨셉 개발 및 디자인 전반에 변화를 불러 일으켰으며, 이에 따라 각 프로세스 접점에서 AI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졌습니다.

그러나 초세밀화된 크리에이티브 측정 및 최적화는 AI의 시대에 발전된 또 하나의 영역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천 개의 광고 소재 내에서 특정 장면과 요소를 식별 하여 유저 생성 콘텐츠(UGC)에서 게임 플레이 스니펫 및 애니메이션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자동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마케터는 이렇게 초세밀화된 분석을 통해 특정 크리에이티브 구성 요소를 성과 지표와 상호 연관시켜, 어떤 조합이 크리에이티브 성공 사례 로 떠오를지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크리에이티브 인게이지먼트 수준에서, 보다 뛰어난 세분화가 제공됩니다. 메타(Meta), 틱톡(TikTok), 유튜브(YouTube)와 같은 플랫폼 역시 풍부한 인게이지먼트 지표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시대에 적응하고 있습니다. 앱스플라이어의 자체 표준인 EET (Enriched Engagement Types) 는 조회수와 클릭 정보를 넘어 캠페인 인게이지먼트에 대한 심층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하여 캠페인 측정 및 어트리뷰션 방식에 중추적인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우려로 퍼널 하단부의 데이터 가용성이 좁아지면서 이제 퍼널 상부의 크리에이티브 측정에 더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개인 정보 보호가 중요해진 현재의 광고 환경에서, 이제 광고 콘텐츠는 광고 플랫폼 자체에 필수적인 퍼스트파티 데이터 역할을 맡게 됩니다.

데이터 샘플 *

220k 크리에이티브당 광고 지출이 월 최소 50달러 이상인 22만 크리에이티브 배리에이션 (9월 23일~2월 24일)**
2k 게이밍과 비게이밍 카테고리를 포함한 앱 개수
720M 분석된 크리에이티브에 의해 발생된 논 오가닉 인스톨 수

* 모든 결과는 완전히 익명으로 집계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합니다. 통계적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엄격한 볼륨 임계값과 방법론을 따르고, 이와 같은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만 데이터를 표시합니다.

** 앱스플라이어의 AI기반 크리에이티브 최적화 솔루션으로 구현; 크리에이티브 당 매월 광고비 50달러 이상 에만 적용.

“강력한 크리에이티브 에셋은 캠페인을 성공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토대입니다. 소비자들의 관심과 인게이지먼트를 유도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아무리 위대한 아이디어라도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계획이 필수적 입니다. 트렌드와 브랜드의 고유성을 잘 보여줄 수 있는 콘텐츠를 생성하고 그에 맞는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결국 마케팅 캠페인 매니저와 크리에이티브 팀 간의 공생 관계를 더욱 공고하게 하며 양측간 협력의 중요성을 더 높일 것입니다.

Dana Shaviv
UA 테크니컬 리드 – 소셜
3

최신 트렌드

50가지 다양한 크리에이티브 추격전: 어떤 광고가 승리할 것인가

일단 눈에 띄는 숫자부터 함께 살펴 봅시다. 2%의 크리에이티브가 광고 예산의 68%를 차지합니다. 게다가 미디어 플랫폼이 성과가 저조한 크리에이티브는 외면하고 성과가 가장 좋은 것에만 집중하기 때문에, 단 10%의 크리에이티브에 무려 90%의 예산을 지출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 하나의 광고가 성공하기 위해서 무려 50개의 다른 광고가 필요할 수도 있다는 냉정한 현실을 보여줍니다.

이렇게 숫자 싸움이 되어버린 환경에서 마케터는 광고를 대량 생산할 수밖에 없는 난관에 부딪힙니다. 실적이 우수한 광고의 성공 요인은 파악되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결과 역시 플랫폼마다 다릅니다. 웹 상에 넘쳐나는 배너 광고와 이로 인한 광고 피로를 감안할 때, 한 캠페인당 지속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창의적 컨셉이 최소 10개는 있어야 합니다.그야말로 끝없는 반복인 셈이죠. AI는 이러한 콘텐츠를 대규모로 생성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지원군이며, 이는 곧 크리에이티브 전략의 중요한 변화를 예고하기도 합니다.

그렇기에 이제 대규모 광고 생산의 규모를 관리하는 창의적인 전략가의 역할도 필수불가결입니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이와 같은 전략은 거의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그만큼 지난 몇 년 간의 변화와 함께 크나큰 패러다임 전환이 다가오고 있다는 뜻이겠죠.

크리에이티브 배리에이션 별 비용 점유율 (%)


IPM 방정식: 인게이지먼트 vs 비용

노출 1,000회당 인스톨(IPM)는 기본 지표로서 광고 크리에이티브 성과를 측정하여 광고 효과를 나타내고 설치당 비용(CPI)에 영향을 미칩니다. IPM이 높으면 크리에이티브가 영향력이 있고 이에 따라 CPI가 낮아 성과가 좋다는 것을 의미하며, 반면 낮은 IPM은 높은 CPI를 견딜 수 있는 고수익 모델에 적합할 수 있습니다.

하이퍼캐주얼 게임은 애드 네트워크에서 IPM 47.6으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3.1 수준의 특성화 RPG를 훨씬 능가합니다. 그러나 하이퍼캐주얼 게임은 인스톨 후 수익화 문제에 직면하는 경우가 많아 CPI를 낮춰야 할 때도 있기에, IPM 하나만으로 판단해서는 안됩니다. 반면, 카지노 및 전략 RPG와 같은 틈새 장르는 수익성이 높은 소수의 잠재고객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IPM이 낮아도 설치당 수익을 높이고자 하며, 그렇기에 높은 CPI도 감당할 수 있습니다.

IIPM의 효과는 미디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애드 네트워크는 컨텍스트 관련성으로 인해 게임 분야에서 성과가 높게 나타납니다. 게임 외에도 생성형 AI 앱은 9 IPM으로 주목을 받고 있으며, 사진 및 동영상 앱도 크리에이티브 광고 잠재력으로 인해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그러나 엔터테인먼트 앱은 IPM 수치에서 뒤처지는 경향이 나타나,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습니다.

카테고리 및 매체 유형별 IPM


모든 이의 관심을 받는 소수의 광고

크리에이티브 별 IPM의 분배는 비용 분배와 밀접하게 관련있습니다. 게임 및 비게임 광고의 2%만이 IPM 80 이상에 도달합니다. 반대로, 모든 광고의 절반은 아무런 인상을 남기지 못합니다.

즉, 소수의 크리에이티브만이 잠재고객의 마음을 사로잡아 상당한 관심과 지출을 유도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 IPM은 광고의 반향을 나타내는 지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순수하게 성과의 관점에서, IPM이 높을수록 광고주, 미디어, 유저에게 이익이 되는 경우가 많으며, 유저 인게이지먼트와 광고 지출 역시 모두 최적화 됩니다.

게임과 비게임 간의 IPM 분포에서 큰 차이를 볼 수 있습니다. 비게임 분야에서는 성공한 광고가 모든 것을 독식했습니다. 성과가 높은 광고와 그 외 나머지 사이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 게이밍 마케터가 다양한 광고 배리에이션을 제작하고 테스트하기 때문에 게임에 대한 IPM 점수 분포가 더 안정적 입니다. 지속적인 반복과 테스트를 요하는 이러한 방식은 전반적으로 IPM 성능을 균등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더 많은 이의 크리에이티브 성공을 의미하며 광고 효과 개선에 대한 게임 업계의 전문성을 보여줍니다.

크리에이티브 IPM 분포(%)


CPI: 거래량 대 가치의 균형

CPI는 마케터에게 매우 민감한 지표입니다. 지리적 위치, 광고 유형, 카테고리, 미디어 플랫폼 등 다양한 요인이 큰 차이를 만들어 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수준의 복잡성은 마케터가 매우 세분화된 데이터를 심층적으로 분석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래 표 참조) 일반적으로 CPI가 낮을수록 IPM이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낮은 CPI가 항상 긍정적인 것만은 아닙니다. 유저당 평균 수익(ARPU)이 높아 수익성이 좋은 게임의 경우, 더 높은 CPI의 채택이 가능할 뿐 아니라 전략상 의도적으로 채택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미드코어 게임은 틈새 시장이자 참여도 높은 오디언스 유치를 우선시하며, 유저 규모보다 유저 퀄리티 확보를 중시합니다. 반면, 하이퍼캐주얼 게임은 폭넓은 매력과 낮은 진입장벽이 강조되며, 광범위한 유저를 끌어들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게임은 일반적으로 유저 규모가 우선시 되기 때문에 CPI가 낮으며, 순전히 설치 수에 따라 수익 창출이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아래 차트에서 미드코어 게임 마케터가 광고 네트워크에서 동영상 광고로 유저를 확보하기 위해 상당한 예산을 할애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애드 네트워크에 게재된 동영상 광고의 CPI (USD)

다음의 장르를 결합한 게이밍 그룹핑: 캐주얼: 퍼즐, 파티, 액션, 매치, 시뮬레이션, 테이블, 어린이용 I 하이퍼캐주얼: 하이퍼캐주얼 I 카지노: 카지노 I 미드코어: 슈팅, 전략, RPG I 스포츠 & 레이싱: 스포츠, 레이싱

국가, 카테고리, 플랫폼, 매체 유형, 광고 유형별 CPI *

다음의 장르를 결합한 게이밍 그룹핑: 캐주얼: 퍼즐, 파티, 액션, 매치, 시뮬레이션, 테이블, 어린이용 I 하이퍼캐주얼: 하이퍼캐주얼 I 카지노: 카지노 I 미드코어: 슈팅, 전략, RPG I 스포츠 & 레이싱: 스포츠, 레이싱

컨텍스트에 따라 달라지는 장면(scene)의 성공 여부

플랫폼에 따라 광고 크리에이티브의 성과는 다른 양상을 띱니다. 미디어 환경 전반에 걸쳐 220,000개 이상의 동영상 광고를 앱스플라이어가 자체 AI로 분석한 바에 따르면, UGC, 게임 및 비게임 모두에 해당하는 게임 플레이 데모, 애니메이션 및 실제 장면 등의 크리에이티브 내 “장면들(scenes)”이 가지는 다양한 효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IPM을 측정 결과, UGC가 없는 게임의 동영상 광고는 UGC가 있는 광고에 비해 평균적으로 20% 더 높은 성과를 보였습니다. (애드 네트워크 +25%, DSP +15%) 애니메이션은 애니메이션이 없는 광고에 비해 IPM이 26% 더 높아 게임에서도 매우 효과적입니다. (모든 미디어 유형 평균)

UGC는 UGC가 시작된 곳이라 할 수 있는 SNS에서 틈새 시장을 찾고 있으며, 게임 분야에서 UGC 광고는 비 UGC 광고보다 12% 더 높은 성과를 거두었고, 특히 비게임 광고에서는 IPM이 22% 더 높았습니다.

실제 영상을 사용하면 애니메이션 광고보다 IPM이 15% 더 높아 비게임 분야에서도 더 나은 결과를 얻습니다.

어떤 장면 타입도 모든 플랫폼에서 균일하게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마케터는 각 채널의 고유한 잠재고객과 컨텍스트에 맞게 콘텐츠를 조정해야 합니다.

AI가 다양한 상황에 대한 최적의 전략을 제시하면, 마케터들은 각 제품의 고유성을 기억하고 성공은 다양한 접근 방식에서 비롯될 수 있음을 잊지말아야 합니다. 다양한 잠재고객의 도달 범위를 늘리고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마케터가 때로는 미디어 플랫폼 내에서 다양한 장면 유형을 광범위하게 실험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매체 유형별 게임(왼쪽 차트)과 비게임 IPM : AI 기반 장면 세부 분석

장면 유형 예시
Buff의 UGC
Lucky Buddies의 애니메이션
Buff의 게임플레이

 “자동화된 혁신적 스토리텔링 툴로 일상 유저가 강화되고 이와 함께 UGC가 진화하고 있습니다. 자동화된 보이스오버 툴을 채택하는 크리에이터가 점점 많아지고 있으며, 이런 변화는 대중 문화에 새로운 유행의 장을 열고 있습니다.”

Liraz Dvora
글로벌 게이밍 (Global Gaming), 크리에이티브 헤드

최고의 결과를 불러오는 장면 조합

크리에이티브는 여러 장면 유형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어떤 조합이 최고의 성과를 이끌어 낼지 지켜보는 일은 매우 흥미롭습니다. 데이터 분석 결과, 광고 네트워크의 맥락에서 게임 크리에이티브는 UGC보다는 동일한 광고 내의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합니다. IPM이 가장 높았던 케이스는 게임 플레이가 추가될 때로, 이는 유저가 게임/앱을 다운로드하기 전에 실제로 어떤지 확인하고 싶어한다는 명확한 신호입니다.

UGC는 비사회적 맥락에서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예상가능하지만 게임을 플레이할 때는, 가상 게임 환경을 반영하는 게임 플레이 장면과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사용하는 광고에 반응할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이외의 다른 모든 조합의 효과는 훨씬 뒤쳐집니다.

소셜 플랫폼 상에서 게임 앱은 게임 플레이 장면보다는 애니메이션과 실제 동영상을 결합하는 다양한 방안에 더 초점을 두어야 합니다. 즉, 광고에 UGC를 추가하면 IPM 지표 상단에서도 더 높은 자리를 차지할 수 있습니다. 흥미롭게도 게임 앱과 비게임 앱은 동일한 상위 두 개의 콤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데이터에 따르면 DSP 설정에서 게임 광고는 UGC보다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우선시 해야 합니다. 광고 속 게임 플레이는 IPM 측면에서 애니메이션과 비등한 수준은 아니었지만 나름의 근소한 차이로 2위를 차지했습니다.

다시 강조하자면, AI는 각 상황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이 무엇인지 밝혀내지만, 마케터 역시 각 제품은 저마다 고유하며 다양한 경로로 성공 방안을 찾을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따라서 최상의 조합을 정확히 찾아내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매우 중요합니다.

미디어 유형별 IPM: 결합된 AI 기반 장면 분석

X = 비 사용
V = 사용
장면 조합 예시
Buff의 UGC & 게임플레이
Lucky Buddies의 실사, 애니메이션 & 게임플레이
Buff의 UGC, 애니메이션 & 게임플레이

국가별 IPM 장면 분석


리포트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가요? 저희의 웨비나로 초대합니다

눈에 띄는 광고: 리텐션 공식

다양한 채널과 컨텍스트가 크리에이티브의 리텐션에 영향을 미칩니다. IPM이 높으면 유저를 끌어들일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게이지 수준이 달라져 종국에는 오히려 이탈이 증가할 수도 있습니다. 애드 네트워크에서는 UGC, 게임 플레이, 애니메이션과 실제 영상이 혼합된 광고가 게임 30일차 리텐션에서 6.01%라는 놀라운 수치를 기록하며 가장 높은 성과를 보였습니다.

게임용 애드 네트워크에서 UGC만 분리하는 경우, 이러한 유형의 크리에이티브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리텐션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DSP의 경우, 게임 플레이 없이 UGC와 실제 영상을 혼합하면 게임 설치 후 유저 리텐션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광고 조합에 부분적으로 UGC를 사용했을 때, 전반적으로 잔존율을 향상 됐습니다. 소셜 미디어 플랫폼은 게임 플레이와 애니메이션과 실제 영상을 사용하여 게임 리텐션을 높이는 반면, 비게임 광고는 UGC와 게임 플레이를 결합하여 가장 큰 효과를 얻습니다.

IPM과 사용자 리텐션의 균형을 맞추는 것은 ROAS를 극대화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IPM이 높으면 CPI를 낮출 수 있지만 유저 이탈률이 높아질 수도 있습니다. 핵심은 유저를 효율적으로 끌어들이면서도 지속적인 참여를 촉진하는 최적의 지점을 찾는 데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CTR, IPM 또는 CPI와 같은 중요하지만 불완전한 중간 지표를 고수하지 않고 전체 그림에 대한 퍼널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미디어 유형별 게임과 비게임 30일차 잔존율: AI 기반 장면 분석

미디어 유형별 30일차 잔존율: 결합된 AI기반 장면 분석

X = 비 사용
V = 사용

국가별 30일차 리텐션 장면 분석 조합


소셜 미디어에서 효과적인 15초 이상의 동영상

동영상 길이는 유저 참여를 측정하는 또 다른 주요 지표입니다. 15초를 넘어가는 게임 크리에이티브는 소셜 플랫폼에서 30일차 잔존율이 30% 더 높았으며 애드 네트워크에서 9% 더 좋은 성과를 거두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게임 이외에 소셜 플랫폼에서는 긴 동영상의 리텐션이 12% 더 높아 비슷한 경향을 보였습니다. 반면 애드 네트워크와 DSP에서는 그 반대의 결과가 나타나 15초 미만의 짧은 동영상이 각각 50%와 80% 이상의 높은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동영상 광고 길이별 30일차 잔존율: AI 기반 분석

4

전문가 제안

글로벌 게이밍(Global Gaming) 크리에이티브 헤드 Liraz Dvora와의 Q&A

2024년 크리에이티브 프로세스를 장악한 3가지 트렌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인터랙티브 인게이지먼트의 발전: 2024년은 유저와의 다이내믹한 상호작용이 굉장히 돋보였던 해입니다. 쇼퍼블 비디오는 단순히 구경을 위한 영상에서 클릭 한 번으로 제품/서비스를 직접 구매할 수 있는 매체로 탈바꿈했으며,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해 오디언스가 실시간으로 직접 참여하는 새로운 크리에이티브 표준이 만들어졌습니다. AI는 이제 콘텐츠를 시청자 취향에 맞게 개인화하고, 진정성과 개인화를 실현시켜 콘텐츠와 시청자 사이의 연결을 더욱 공고하게 만들었습니다.

Creators at the forefront 최전방의 크리에이터: 올해는 정통성의 파워가 굉장히 높아졌고, 엄청나게 다양한 크리에이터가 전세계 곳곳에 등장했습니다. 크리에이터 경제가 붐을 일으키고 있으며(골드만 삭스는 2027년 크리에이터 경제 규모가 4800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스토리가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오디언스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제는 쉽게 사용가능한 툴이 많기 때문에 누구나 프로페셔널 수준의 콘텐츠를 창작할 수 있습니다. 크리에이터가 미치는 영향력의 범위는 단순 팔로워를 넘었습니다. 이제는 마이크로 인플루언서까지 등장해 여러 커뮤니티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All types of automation tools 모든 유형의 자동화 툴: 자동화 툴은 업무의 단계를 간소화하고 아이디어의 도출을 돕고 있습니다. 자동화 툴의 연동으로 크리에이티브의 워크플로우가 바뀌고 있는 상황입니다. 맥킨지에 따르면 전체 기업의 3분의 1이 업무 프로세스에 자동화툴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는 자동화툴이 크리에이티브 리소스에 엄청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올해 크리에이티브 프로세스의 어떤 부분에서 자동화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나요?

전통적으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손이 많이 갔던 업무에 자동화가 가장 큰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 예로 크리에이티브 최적화는 자동화를 통해 완전히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프로세스가 간소화되면 자동화를 통해 수 천개의 크리에이티브 예시를 빠르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인간의 분석 속도를 훨씬 능가하는 수준이죠. 이에 따라 다양한 채널에 걸쳐 주요 성과 지표에 맞춤화된 콘텐츠의 최적화가 가능하게 됩니다.

게다가 자동화를 통해 일반 유저도 혁신적인 스토리텔링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UGC 역시 크게 진화하고 있습니다. 크리에이터들이 앞다투어 사용하는 자동화 보이스오버 툴은 대중 문화에 일고 있는 새로운 유행의 장을 여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크리에이티브 프로세스에 자동화를 사용할 경우, 마케터가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일까요?

AI가 크리에이티브에 혁신을 일으키고 효율성을 높여 주지만, AI 자동화와 관련해 마케터들이 주의 해야할 점이 몇 가지 있습니다. AI가 마케터들에게 가져다 주는 이점 만큼, 신경써야 할 문제도 생기기 때문입니다.

휴먼 마케터의 확인을 거치지 않은 AI 사용: 자동화를 과도하게 사용하여 콘텐츠를 생성할 경우, 콘텐츠 내에 감정의 깊이가 결여돼 있는 경우를 심심찮게 볼 수 있습니다. 소비자에게 진정성 있게 다가가고 문화적으로 적합한 결과물을 내기 위해서는 인간적인 요소를 심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동화에 과도하게 의존: 자동화를 너무 과신하게 되면 마케터의 크리에이티브 아이디어가 제한되며 그에 따라 서로 너무 비슷하거나 혁신이 완전히 결여된 크리에이티브만이 만들어 지겠죠. 자동화는 분명 마케터를 보조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인간의 독창성을 완전히 대체해서는 안됩니다.

결론적으로 크리에이티브에 자동화를 효과적으로 적용하려면, 자동화가 가져다주는 이점과 마케터의 창의성, 문화적 인사이트 사이에 적절한 균형점을 찾아야 합니다. 그래야만 소비자에게 진정성 있게 다가가는 콘텐츠를 만들 수 있습니다.

"세로형 숏폼 영상" 광고 형태에서 승자가 되기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하다고 보시나요?

“세로형 숏폼 영상” 광고에서는 첫 2초 안에 시청자의 관심을 완전히 사로잡을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성공이 결정됩니다. 비주얼과 오디오 요소를 효과적으로 살린 훅(hook)을 잘 만들어야 가능하겠죠. 유저는 다양한 콘텐츠를 굉장히 빠른 속도로 넘기며 보기 때문에 매우 짧은 시간 안에 유저의 관심을 일으켜야 합니다.

하지만 유저의 관심만으로 쉽게 승리를 가져갈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상위 퍼널과 하위 퍼널 지표의 균형을 맞춘 성과 역시 필요합니다. 광고 플랫폼의 이점을 활용하고 유저에 맞춘 언어를 채택함으로써 퍼널 지표 균형을 맞추는 동시에, 임팩트를 최대화할 수 있는 크리에이티브 혹은 게임 요소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상위 퍼널 지표는 크리에이티브가 매력적인지 알려주는 반면, 하위 퍼널 지표는 크리에이티브가 관련 오디언스를 실제로 끌어 들였는지 여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RPG 게임의 경우, 게임 캐릭터의 레벨을 올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플레이어는 레벨업을 하기 위해 계속해서 게임을 하니까요. 그러므로 애드 네트워크 상에서 RPG 크리에이티브 콘텐츠는 실제 게임 플레이 장면을 보여주는 것에 주안점을 두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반면, 숏폼 비디오 플랫폼에서는 캐릭터 업그레이드와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게임 진행 장면으로 유저의 관심에 불을 붙이는 것이 목표입니다. 게임 하이라이트 장면에 크리에이터와 같은 반응을 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광고가 더 진정성있게 매력적으로 다가갈 수 있죠. 주요 캐릭터나 눈에 띄는 게임장비를 광고에서 보여주는 것도 게이머를 계속해서 게임에 몰입하게 하는 요소입니다.

틱톡 이후로 트렌드 변화의 속도가 굉장히 빨라졌습니다. 이런 환경에서 어떻게 하면 최신 트렌드를 민감하게 파악하고 발빠르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틱톡에서 최신 트렌드를 효과적으로 감지하고 빠르게 대처하려면 틱톡에서의 인게이지먼트를 활성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래야 틱톡 내에서의 트렌드와 다이내믹을 깊이 이해하고, 틱톡의 커뮤니티 안에서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어요.

금방 사라지는 반짝 인기 콘텐츠와 진짜 트렌드를 구분하는 안목도 필수입니다. 장기간 지속되는 트렌드를 구별해 낸다면 관련된 각 브랜드에 필요한 인사이트와 크리에이티브 기회를 잡을 수 있어요.

게이밍이 문화적 영향력을 점점 넓혀 나가면서 #GamingOnTikTok 커뮤니티가 틱톡 플랫폼에 활기를 불어 넣으며 매크로 트렌드를 주도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틱톡을 활용하는 혁신적인 게이밍 브랜드는 유행을 정확히 파악하면서도 팬에게 울림을 주는 흥미진진한 콘텐츠를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오늘날 비즈니스 성공을 결정하는 것은 최신 트렌드에 대한 이해와 이를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능력이라는 것을 게이밍 브랜드들이 잘 보여주는 셈이죠.
  
바이트로 랩스(Bytro Labs)가 성공적으로 론칭했던 틱톡 캠페인이 좋은 사례인데요, 바이트로 랩스는 론칭전에 틱톡 크리에이터들을 모아 최신 트렌드를 반영하면서도 빠르게 관심을 끌 훅(hook)을 제작해 달라고 주문했습니다. 그리고 캠페인 영상에서 화면 분할 모드를 활용해 영상 하단에는 게임 플레이 장면을, 영상 상단에는 크리에이터들의 리액션을 보여 줬어요. 이는 틱톡에서 유행하는 몰입형 인게이지먼트와 UGC 트렌드를 십분 활용한 결과물이었던 거죠. 독일에서 시작돼 이제는 전 세계로 뻗어나간 바이트로 랩스는 각 로컬 문화에 걸맞는 광고를 제작하면서도 글로벌 브랜드로서의 이미지를 일관되게 유지하고 있습니다. 최신 트렌드와 문화적 차이를 잘 활용한 이 전략들의 결과로 ROAS가 엄청나게 증가했습니다.




















크리에이티브 관점으로 바라본 스파크 애즈 vs 전통적 앱 인스톨 캠페인

스파크 애즈와 전통적 인피드 광고는 코어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강화하며 서로를 보완해야 합니다. 두 캠페인 유형 모두 틱톡의 독특한 문화에 맞는 “틱톡 우선(TikTok first)” 콘텐츠 전달을 목표로 하되 각기 다른 강점을 지니고 있어야겠죠.

전통적 광고는 매력적인 훅, 간결한 틱톡 스타일 텍스트, 앱 인스톨을 유도하는 흥미 유발, 빠른 관심을 이끄는 눈에 띄는 게임 플레이 영상과 같은 크리에이티브 모범 사례를 우선시 했어요. “이 게임에서 놓치면 안되는 3가지”이라는 텍스트를 먼저 보여준 뒤, 해당 기능과 게임플레이 장면을 시각적으로 보여줘 시청자의 이목을 끄는 방식이 대표적 입니다.

반면 스파크 애즈는 크리에이터나 브랜드의 신뢰와 진정성을 최대한 활용합니다. 이 유형은 유저와의 개인적인 연결을 중시하기 때문에 크리에이터의 진정성 담긴 경험을 보여주고자 해요. 예를 들어, 어떤 크리에이터가 가장 좋아하는 게임 피처를 공유할 때, 팔로워에게 게임을 해보고 반응을 알려 달라고 얘기 하잖아요. 브랜드 역시 스파크 애즈를 통해 커뮤니티와 소통하고, 유저들에게 피드백이나 마음에 든 부분들을 공유해 달라고 요청해서 접근법을 개선하는데 활용할 수 있어요. 유저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그리고 광고를 더욱 개인적인 경험으로 만들 수 있는 전략인 셈입니다.

궁극적으로 스파크 애즈와 전통적 인피드 광고 모두 흥미 유발과 앱 인스톨 유도를 목표로 삼아야 해요. 그러면서도 특히 스파크 애즈를 통해 감정적 매력과 개인적 경험의 공유, 커뮤니티 상호작용을 통합하는 식으로 전략을 넓혀가야 합니다.

두 광고 포맷을 모두 선택한다면 강력한 콘텐츠로 주목을 끔과 동시에 진정성과 참여를 통해 오디언스와의 연결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는 틱톡에서의 전반적인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것입니다.


UA 테크니컬 리드 – 소셜 Dana Shaviv와의 Q&A<br>

현재 크리에이티브 팀은 어떻게 구성돼 있나요? 그리고 UA 팀과 어떻게 연결돼 있나요?

저희 크리에이티브 팀은 디자이너와 전략 플래너까지 포함하며 영향력있는 컨텐츠를 만들기 위해 UA 팀과 아주 밀접하게 협력하고 있습니다. 원활한 콜라보레이션을 위해 서로 주기적으로 정보를 교환합니다.

UA팀이 제공하는 데이터와 인사이트를 통해 크리에이티브의 방향이 유저의 공감을 얻고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지속적인 회의와 진행 현황 공유를 통해서 성공적인 크리에이티브 뿐 아니라 성과가 떨어지는 크리에이티브에 대해서도 함께 논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양방향 소통이 저희에게는 굉장히 중요합니다. UA팀이 업계 트렌드와 잠재적 크리에이티브 방향성에 관한 업데이트를 전달 받고, 마케팅 전략가는 특정 캠페인의 성공 여부에 대해 전달 받습니다. 양 팀 모두 아이디에이션 프로세스 부터 성과 차이를 분석하고 개선 전략을 브레인스토밍하는 모든 과정에 기여하는 셈이죠.

뿐 만 아니라 현재 진행 중인 크리에이티브를 반복 확인하는 것부터 브레인스토밍 세션 개최, 단기적 성공을 위한 업무, 혁신을 위한 장기 프로젝트까지 협업해 진행하고 있습니다.

AI가 많은 가치를 창출하는 한편, 크리에이티브 프로세스에 있어서 "단점"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생성형 AI는 빠른 회전율을 보장하며 크리에이티브 제작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지만, 자칫하면 창의성과 인간적 매력이 부족한 크리에이티브가 난립할 수 있다는 점을 꼭 고려해야 합니다.

AI를 통해 콘텐츠 창작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지만, 인간 크리에이터로부터의 고유한 목소리나 관점, 혁신적 아이디어가 부족하거나 광고가 획일화되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AI가 생산성 향상에 가져다 주는 효과는 논쟁의 여지 없이 강력합니다. 그러나 그 대가로 창의성을 잃어서 안되겠죠. AI 시대에도 인간의 직관력은 여전히 그 무엇으로도 대체할 수 없으며, 독창적인 콘텐츠에 목말라하는 소비자들에게 울림을 줄 수 있는 포인트는 인간의 직관에서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지표에 주목하며 얼마나 세밀하게 측정, 최적화 하나요?

저는 크리에이티브 최적화에 접근할 때, 데이터를 깊게 이해하고 그 안에서 인사이트와 기회를 포착하는 것부터 시작합니다. 특정 목표에 맞춰놓은 다양한 지표를 먼저 분석하죠. 일단, 상위 퍼널 지표에 주목해서 성과가 높은 크리에이티브를 가려냅니다. 즉, 앱 인스톨과 같이 원하는 전환을 이끌어 냈느냐를 우선시 한다는 뜻이에요. 퍼널을 통해 노출수, 조회수, 클릭수, 인스톨수, 플레이 비율을 추적하면 어떤 크리에이티브가 많은 관심을 받았고 유저의 행동을 이끌어 냈느냐를 알 수 있습니다.

유저 인게이지먼트 컨셉을 세우고 나면, 퍼널 지표를 더 심층적으로 최적화하는 데 집중합니다. 이 과정에서 제 목표는 유저가 게임 각 요소를 더 즐겁게 탐험하고 최적화된 게이밍 경험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선 유저 인게이지먼트나 만족도와 같은 추가적인 지표를 살펴봐야 합니다.

이 과정 전반에 걸쳐 항상 유의하고 있어야하는 부분은 바로 수익과 리텐션 KPI입니다. 최적화 개선을 위한 노력이 결국은 참여도와 연관성이 높은 오디언스로 이어져야 장기적인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으니까요.

2024년에는 어떤 광고 형태(영상, 배너, 플레이어블 등)가 가장 효과적일까요?

소셜 유저 확보에 있어서는 영상이 여전히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참여를 유도하며 시청자를 머물게 하는 영상이 여전히 우위를 차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미 그 효과가 입증이 됐기 때문이죠.

그러나 플랫폼 다이내믹의 지형이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고, 새로 등장하는 트렌드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유연한 접근법이 요구됩니다. 그렇기에 항상 깨어 있어야 하며, 지속적으로 진화하는 전략을 준비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앞서 나가기 위해서 유연적인 대처와 새로운 광고 형태에 대한 적응력이 꼭 필요합니다. 다각화가 그 열쇠입니다. 즉, 여러 광고 형태를 다양하게 실험해 본다면 캠페인을 상황에 맞게 개선하고 최적화하여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겠죠.

크리에이티브에 관해 추천하고 싶은 팁이나 전략이 있다면?

강력한 크리에이티브 에셋은 캠페인을 성공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토대입니다. 소비자들의 관심과 인게이지먼트를 유도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아무리 위대한 아이디어라도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계획이 필수적 입니다.

트렌드와 브랜드의 고유성을 잘 보여줄 수 있는 콘텐츠를 생성하고 그에 맞는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결국 마케팅 캠페인 매니저와 크리에이티브 팀 간의 공생 관계를 더욱 공고하게 하며 양측간 협력의 중요성을 더 높일 것입니다.
5

핵심 요약

Background
현명한 마케팅 결정은 더 나은 데이터로부터 발생합니다

The post 크리에이티브 앱 최적화 현황 리포트 – 2024년 에디션 appeared first on AppsFlyer.

]]>
앱스플라이어 퍼포먼스 인덱스: 2024 국가 랭킹 에디션 https://www.appsflyer.com/ko/resources/reports/country-performance-index/ Tue, 26 Mar 2024 07:58:57 +0000 https://www.appsflyer.com/resources//%ec%95%b1%ec%8a%a4%ed%94%8c%eb%9d%bc%ec%9d%b4%ec%96%b4-%ed%8d%bc%ed%8f%ac%eb%a8%bc%ec%8a%a4-%ec%9d%b8%eb%8d%b1%ec%8a%a4-2024-%ea%b5%ad%ea%b0%80-%eb%9e%ad%ed%82%b9-%ec%97%90%eb%94%94%ec%85%98/ 퍼포먼스 인덱스 국가 랭킹 에디션 2024년 상반기

모바일 앱 하나는 평균 14개 시장에서 캠페인을 집행합니다. 마케팅 투자 지역과 투자 금액을 정하는 일은 앱 성장에 매우 중요합니다. 앱스플라이어 퍼포먼스 인덱스 – 국가 랭킹 에디션에서 답을 찾아보세요! 앱 약 30,000개, 인스톨 190억 건을 시장 규모, 유저 가치, 광고 비용, 그리고 특히 신흥 시장 발굴에 초점을 둔 9가지 기준으로 마케팅 성공 가능성이 높은 국가 순위를 […]

The post 앱스플라이어 퍼포먼스 인덱스: 2024 국가 랭킹 에디션 appeared first on AppsFlyer.

]]>
퍼포먼스 인덱스 국가 랭킹 에디션 2024년 상반기

모바일 앱 하나는 평균 14개 시장에서 캠페인을 집행합니다. 마케팅 투자 지역과 투자 금액을 정하는 일은 앱 성장에 매우 중요합니다.

앱스플라이어 퍼포먼스 인덱스 – 국가 랭킹 에디션에서 답을 찾아보세요!

앱 약 30,000개, 인스톨 190억 건을 시장 규모, 유저 가치, 광고 비용, 그리고 특히 신흥 시장 발굴에 초점을 둔 9가지 기준으로 마케팅 성공 가능성이 높은 국가 순위를 정리했습니다.

주요 내용:

  • 게임 장르 14가지, 비게임 카테고리 16개별 모바일 앱 마케팅 성과 순위 국가 83개국 (안드로이드, iOS 앱 구분)
  • 신규 유저 모객 마케팅(UA) 및 기존 유저 리마케팅별 성공 가능성 높은 국가 순위
  • 국가별 앱 시장 성장 가능성 및 캠페인 성과 비교

The post 앱스플라이어 퍼포먼스 인덱스: 2024 국가 랭킹 에디션 appeared first on AppsFlyer.

]]>
리텐션 주의! 2023 앱 리텐션 벤치마크 리포트 https://www.appsflyer.com/ko/resources/reports/app-retention-benchmarks/ Mon, 22 Jan 2024 08:54:37 +0000 https://www.appsflyer.com/resources//%eb%a6%ac%ed%85%90%ec%85%98-%ec%a3%bc%ec%9d%98-2023-%ec%95%b1-%eb%a6%ac%ed%85%90%ec%85%98-%eb%b2%a4%ec%b9%98%eb%a7%88%ed%81%ac-%eb%a6%ac%ed%8f%ac%ed%8a%b8/ Внимание удержание 2021 отчет

리텐션은 방심하면 금방 떨어집니다.   잔존율은 유저의 충성도 및 참여도 측면에서 앱의 성과에 대한 귀중한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주요 KPI입니다. 최적화, 수익화 및 수익 예측을 할 때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지표죠. 리텐션에 주의를 기울이면 더 종합적인 정보에 입각해 올바른 의사 결정을 하며 캠페인을 목적에 맞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리텐션을 높이는 일은 쉽지 않습니다. 인기 […]

The post 리텐션 주의! 2023 앱 리텐션 벤치마크 리포트 appeared first on AppsFlyer.

]]>
Внимание удержание 2021 отчет

리텐션은 방심하면 금방 떨어집니다.  

잔존율은 유저의 충성도 및 참여도 측면에서 앱의 성과에 대한 귀중한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주요 KPI입니다. 최적화, 수익화 및 수익 예측을 할 때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지표죠. 리텐션에 주의를 기울이면 더 종합적인 정보에 입각해 올바른 의사 결정을 하며 캠페인을 목적에 맞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리텐션을 높이는 일은 쉽지 않습니다. 인기 카테고리 내 앱 간 경쟁은 치열해지고 유저의 기대치는 높아져만 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면서 사람들이 오락거리를 찾던 2020년과 2021년에는 리텐션이 높았으나, 2022년에는 자연스레 감소했습니다. 그리고 2023년은 일일 잔존율이 약 12% 감소하면서 저점을 찍었습니다. 

앱 리텐션 벤치마크 살펴보기 – 평균 및 상위 10%

게다가 프라이버시 문제가 대두되었습니다. 캠페인 첫 날 이후 유저 레벨 데이터는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앱 마케팅을 운영하는게 막막할 수도 있습니다.

유저 레벨 데이터에 의존하여 캠페인을 측정하고 최적화하는 방식은 이제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현재 iOS 에서는 거의 불가능하며 곧 안드로이드에서도 마찬가지가 될 것입니다. 유저 레벨 데이터 대신 앱 마케터는 새로운 측정 방법을 활용하여 UA 캠페인을 최적화하고 충성도 높은 유저를 모객하는 채널을 정확히 찾아내는 등 변화한 현실에 맞게 기술을 다룰 줄 알아야 합니다.

현재 iOS 기기에서는 리텐션을 측정하기 어렵지만, 앱 사용 활동 추적에 동의한 iOS 유저(소수이긴 하지만 무시할 수 없는 수), 안드로이드 앱 사용 데이터, 오가닉 인스톨과 논오가닉 인스톨을 합친 전체 인스톨의 잔존율을 기반으로 한 벤치마크 데이터는 계속해서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될 것입니다.

푸시 알림, 이메일, SMS와 같은 온드 미디어(owned media)는 앱 마케팅에서 중요한 채널로 떠올랐으며, 기존 유저를 관리하고 장기적으로 유저 생애 가치를 높이는 리마케팅에 새로운 동력이 되고 있습니다.

본 리포트에서는 2023년 3분기 17,000개의 앱에서 발생한 180억 건의 앱 인스톨을 분석했습니다. 모든 데이터는 익명화하여 총계 처리했습니다. 통계의 타당성을 위해 일정한 데이터 볼륨 기준과 보수적인 방법론을 적용했습니다.

2023년 iOS와 안드로이드의 일일 리텐션 12% 감소

시간이 지날수록 리텐션은 더 관리하기 어려워졌습니다. 그 결과 유저들이 특정 앱에 대한 충성도가 낮아지면서 작년 동기 대비 잔존율이 감소했습니다.

한 해 동안 발생한 여러 현상들이 잔존율에 반영되었습니다. 우선, COVID-19와 자가격리의 영향으로 더 다양한 종류의 앱을 보는 시간이 증가했습니다. 

iOS와 안드로이드는 일정 수준의 잔존율을 꾸준히 유지하다가 2023년 전체 일일 잔존율이 약 12% 감소했으며, 2023년에는 iOS도 안드로이드와 함께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iOS 앱의 30일차 리텐션은 2022년에 4.4%, 2023년에는 거의 14% 감소했습니다. 30일차 안드로이드 앱 리텐션은 전년 동기 대비 18% 감소하며 더욱 저조한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카테고리별 리텐션: 교통, 사진 및 비디오, 여행 앱 성장세, 카지노 및 도박, 데이트, 소셜 미디어 앱은 감소

마케터라면 누구나 성장을 원합니다. 하지만 2023년에는 주로 안드로이드 교통, 사진 및 동영상, 여행 앱에서 작년 대비 눈에 띄는 성장이 보였습니다. 반면, 뉴스 앱은 잔존율이 12%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9.1%의 잔존율로 여타 카테고리에 앞서 리텐션 선두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앱을 카테고리별로 살펴보면 게임과 라이프스타일 앱이 평균 30일차 잔존율을 지난해와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했습니다. 그러나 카지노 및 도박 앱의 30일차 잔존율은 31% 급감하며 가장 큰 감소세를 보였고, 데이트 앱이 20%, 소셜 미디어 앱이 18% 감소하며 그 뒤를 이었습니다.

마찬가지로 iOS도 앱 카테고리 대부분에서 30일차 리텐션이 전년 대비 평균 8% 감소하며 좋지 않은 결과를 보였습니다. 안드로이드 사진 및 동영상 앱의 30일차 리텐션은 13% 증가한 반면, iOS 앱은 5% 감소했습니다. 또한 엔터테인먼트(-19%), 금융(-18%), 유틸리티 및 생산성(-14%), 식음료(-12%), 소셜 미디어(-11%), 쇼핑(-8%) 등의 카테고리에서 큰 폭의 감소가 관찰되었습니다. 

유저 충성도를 되찾아 앱 이탈률을 낮출 새로운 방법들을 찾아야 할 때입니다.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고객 유지율 격차

위 지도를 살펴보면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30일차 리텐션에 차이가 보입니다. 선진국에서 잔존율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개발도상국 유저들이 지속적으로 할인을 추구하는 등 다양한 요인에 기인할 수 있습니다. 가격을 더 강조하면 브랜드 충성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30일차 잔존율을 보면 호주, 캐나다, 프랑스, 독일과 같은 선진국들이 평균을 상회합니다. 반대로 베트남, 네팔, 인도네시아 등의 국가는 평균보다 낮은 비율을 보였습니다. iOS 플랫폼의 경우 영국과 미국 등 일부 선진국에서는 평균 잔존율을 밑돌고 있습니다.

또한, 일본은 30일차 잔존율이 안드로이드에서 4.98%, iOS에서 5.25%을 기록하며 선진국 중 선두를 달리고 있습니다.  

리텐션 개선하는 법

위기는 기회와 함께 옵니다. 경쟁이 치열해지는 것은 사실입니다. 유저들은 그 어느 때보다 가격에 민감하고 기대치가 점점 더 높아지는 것도 맞습니다. 하지만 개선이 불가능한 상황은 아닙니다. 유저 리텐션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몇 가지 팁을 소개합니다.  

  • UX에 집중하세요: 재방문은 뛰어난 첫 유저 경험에서 시작됩니다. 앱 설치 시점에 유저가 현실적인 기대치를 갖도록 설정하고 약속한 사항을 이행하세요. 사용자 경험이 탁월해야 고객 충성도를 유지하고 수익성 높은 LTV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 딥링킹을 활용하세요: UA 캠페인에서 딥링크를 사용하여 유저가 가장 관심 있는 콘텐츠로 바로 이동할 수 있는 원활한 온보딩 경험을 제공하세요. 고객 여정을 최대한 간소화하여 지체 없이 광고에서 앱 설치, 전환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세요.
  • 온드 미디어(owned media)를 활용하세요: 푸시 알림, 이메일 및 SMS 캠페인과 같은 온드 미디어를 활용하여 유저 참여도를 높이고 잔존율을 향상시키세요. 온드 미디어를 리마케팅에 사용한 앱의 30일차 잔존율이 향상되었습니다. 온드 미디어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며 앞으로 떠오르는 마케팅 채널이 될 것입니다.  
  • 리인게이지먼트 캠페인에 투자하세요: 앱을 설치한 지 일주일 내에 유저에게 맞춤 리인게이지먼트 캠페인을 시작하여 고객 라이프사이클 전반에 걸쳐 재참여와 가치 창출이 이어지도록 투자하세요.  
  • 새로운 측정 프레임워크를 도입하세요: 개인정보 보호가 중시되는 요즘, 리인게이지먼트 캠페인 집행에서 가장 큰 어려움은 가용 데이터 제한입니다. 이제 유저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유저 단위 데이터를 집약한 집약형 데이터에 의존해야 합니다. 성과 증분 측정(incrementality), 성과 예측, 코호트 분석과 같은 측정 프레임워크를 구현하면 리인게이지먼트 전략을 계획, 실행,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리텐션 벤치마크 데이터를 참조하여 현 수준을 가늠하세요: 더 다양한 앱 지표를 활용하세요. iOS 유저 레벨 정보 및 리텐션 데이터는 사용할 수 없지만, 벤치마크 데이터와 안드로이드 앱 트렌드 자료에서 리텐션 전략 수립에 도음이 되는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일일 앱 리텐션 벤치마크 – 평균 및 상위 10%

The post 리텐션 주의! 2023 앱 리텐션 벤치마크 리포트 appeared first on AppsFlyer.

]]>
원링크 활용 사례를 통해 바라본 최적의 고객 경험 설계 노하우 https://www.appsflyer.com/ko/resources/reports/onelink-cx/ Tue, 19 Dec 2023 05:05:38 +0000 https:////www.appsflyer.com//?post_type=resource&p=351989

발표 소개 고객이 어디에 있든 기대하는 목적지로 안전히 매끄럽게 모시는 고객 경험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어느 기기, 어느 채널을 사용하든, 온라인이든 오프라인이든 딥링킹을 통해 더욱 쾌적한 브랜드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본 세션은 딥링킹의 종류와 다양한 활용 사례를 통해 고객 경험 설계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발표 구성 연사 소개 정대훈 앱스플라이어 한국 고객 성공 […]

The post 원링크 활용 사례를 통해 바라본 최적의 고객 경험 설계 노하우 appeared first on AppsFlyer.

]]>

발표 소개

고객이 어디에 있든 기대하는 목적지로 안전히 매끄럽게 모시는 고객 경험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어느 기기, 어느 채널을 사용하든, 온라인이든 오프라인이든 딥링킹을 통해 더욱 쾌적한 브랜드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본 세션은 딥링킹의 종류와 다양한 활용 사례를 통해 고객 경험 설계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발표 구성

  • 고객 경험이란
  • 딥링킹의 종류
  • 딥링킹 활용 사례: Web-to-App 연결, Social-to-App, QR code-to-App 외 다수

연사 소개

정대훈 앱스플라이어 한국 고객 성공 총괄 디렉터

본 영상은 2023년 11월 23일에 개최된 <Digital Marketing & Technology Summit 2024 – 브랜드의 고객경험 극대화>에서 발표된 내용의 녹화본입니다.

The post 원링크 활용 사례를 통해 바라본 최적의 고객 경험 설계 노하우 appeared first on AppsFlyer.

]]>
크리에이티브 분석을 통한 광고 성과 뒤집기 https://www.appsflyer.com/ko/resources/reports/creative-marketing/ Tue, 19 Dec 2023 02:34:32 +0000 https:////www.appsflyer.com//?post_type=resource&p=387136 크리에이티브 분석을 통한 광고 성과 뒤집기

발표 소개 “수동으로 취합하고 데이터 가공하는데 시간이 너무 많이 듦”“여러 지표를 자유롭게 오가며 조회하기에 무리”“특정 소재의 효율이 우수한 정확한 이유를 찾기 힘듦“ 앱스플라이어가 마케팅 실무자 1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크리에이티브 관리 문제 설문 조사 결과입니다. 개인정보 사용에 대해 시스템 차원의 규제가 강화되면서 유저 단위 측정과 개인화 광고가 제한되고, 마케팅의 중심이 다운 퍼널 분석에서 크리에이티브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

The post 크리에이티브 분석을 통한 광고 성과 뒤집기 appeared first on AppsFlyer.

]]>
크리에이티브 분석을 통한 광고 성과 뒤집기

발표 소개

“수동으로 취합하고 데이터 가공하는데 시간이 너무 많이 듦”
“여러 지표를 자유롭게 오가며 조회하기에 무리”
“특정 소재의 효율이 우수한 정확한 이유를 찾기 힘듦


앱스플라이어가 마케팅 실무자 1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크리에이티브 관리 문제 설문 조사 결과입니다.

개인정보 사용에 대해 시스템 차원의 규제가 강화되면서 유저 단위 측정과 개인화 광고가 제한되고, 마케팅의 중심이 다운 퍼널 분석에서 크리에이티브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하면 크리에이티브를 최대한 활용해서 캠페인 효과를 극대화하고 ROAS를 높일 수 있을까요?

다양한 예시를 통해 크리에이티브 관리의 어려움에 대한 솔루션을 짚어봅니다.

발표 구성

  • 개인정보 보호 강화와 크리에이티브
  • 크리에이티브 분석의 어려움
  • 크리에이티브 분석 사례 및 솔루션

연사 소개

김혜연 앱스플라이어 그로스 매니저

** 본 영상은 2023년 11월 28일 열린 데이터 마케팅 콘퍼런스 The MAXONOMY에서 발표한 내용의 녹화본입니다.

The post 크리에이티브 분석을 통한 광고 성과 뒤집기 appeared first on AppsFlyer.

]]>
AI로 하는 모바일 앱 광고 성과 측정 https://www.appsflyer.com/ko/resources/reports/ai-marketing/ Tue, 21 Nov 2023 08:16:55 +0000 https:////www.appsflyer.com//?post_type=resource&p=351990 AI로 하는 모바일 앱 광고 성과 측정

웨비나 소개 한 뇌과학 교수는 지난 11월 15일에 열린 컨퍼런스에서 앞으로 인간이 데이터와 ‘대화’하는 시대가 펼쳐질 것이라 예견했습니다. 우리는 인간이 아닌 대상과 처음 고도화된 대화를 나누는 시대를 맞고 있다고도 덧붙였습니다. 기업과 소비자가 데이터를 통해 안전하고 가치있는 대화를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AI는 마케팅에 어떻게 쓰일까요? 앱스플라이어의 최지호 서포트 엔지니어가 데이터 홍수 속 프라이버시를 위한 […]

The post AI로 하는 모바일 앱 광고 성과 측정 appeared first on AppsFlyer.

]]>
AI로 하는 모바일 앱 광고 성과 측정

웨비나 소개

한 뇌과학 교수는 지난 11월 15일에 열린 컨퍼런스에서 앞으로 인간이 데이터와 ‘대화’하는 시대가 펼쳐질 것이라 예견했습니다. 우리는 인간이 아닌 대상과 처음 고도화된 대화를 나누는 시대를 맞고 있다고도 덧붙였습니다. 기업과 소비자가 데이터를 통해 안전하고 가치있는 대화를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AI는 마케팅에 어떻게 쓰일까요?

앱스플라이어의 최지호 서포트 엔지니어가 데이터 홍수 속 프라이버시를 위한 규제가 강화되는 환경에서 AI를 통한 새로운 데이터 마케팅 상을 제시합니다. 인간이 처리할 수 없는 수준으로 무한증식하는 광고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기술도 소개합니다.

주요 내용

  • 첫인사
  • 개인 정보 보호 강화와 AI
  • 크리에이티브와 AI
  • 끝인사

AI라는 우주를 마케팅 관점에서 어떻게 항해할지에 대한 영감을 얻어보세요.
오른쪽에 등록하시고 세션 전체를 시청하세요.

The post AI로 하는 모바일 앱 광고 성과 측정 appeared first on AppsFlyer.

]]>
앱스플라이어 퍼포먼스 인덱스: 16차 에디션 https://www.appsflyer.com/ko/resources/reports/performance-index/ Fri, 10 Nov 2023 23:52:00 +0000 https://www.appsflyer.com/resources//%ec%95%b1%ec%8a%a4%ed%94%8c%eb%9d%bc%ec%9d%b4%ec%96%b4-%ed%8d%bc%ed%8f%ac%eb%a8%bc%ec%8a%a4-%ec%9d%b8%eb%8d%b1%ec%8a%a4-16%ec%b0%a8-%ec%97%90%eb%94%94%ec%85%98/ 앱스플라이어 퍼포먼스 인덱스 16차 에디션

2023년 마케팅 예산이 대폭 삭감되었습니다. 미디어 시장도 변했을까요? 어떻게 변했을까요? 경제적 불확실성이 지속됨에 따라 예산을 편성할 때 올바른 선택을 하는 일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습니다. 특히 유저 수는 많지만 측정 방식이 분산된 iOS 앱에 대해서는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2015년부터 모바일 광고 미디어 소스 순위를 발행하는 앱스플라이어 퍼포먼스 인덱스의 16차 에디션에서 저희는 처음으로 iOS SSOT […]

The post 앱스플라이어 퍼포먼스 인덱스: 16차 에디션 appeared first on AppsFlyer.

]]>
앱스플라이어 퍼포먼스 인덱스 16차 에디션

2023년 마케팅 예산이 대폭 삭감되었습니다. 미디어 시장도 변했을까요? 어떻게 변했을까요?

경제적 불확실성이 지속됨에 따라 예산을 편성할 때 올바른 선택을 하는 일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습니다. 특히 유저 수는 많지만 측정 방식이 분산된 iOS 앱에 대해서는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2015년부터 모바일 광고 미디어 소스 순위를 발행하는 앱스플라이어 퍼포먼스 인덱스의 16차 에디션에서 저희는 처음으로 iOS SSOT 순위를 발표합니다. 앱 인스톨 115억 건을 분석하여 모바일 앱 미디어 업계에서 가장 포괄적인 성적표를 제공합니다.

주요 내용:

  • New! iOS SSOT 순위: 앱스플라이어의 Single Source of Truth 솔루션으로 iOS 미디어 소스 순위 분석
  • 안드로이드 리텐션 및 리마케팅 순위: 157가지 지역 x 앱 카테고리 분석 
  • 퍼포먼스 및 볼륨 랭킹: Google, Meta, Apple, TikTok, Unity 외 상위 70개 모바일 미디어 소스

The post 앱스플라이어 퍼포먼스 인덱스: 16차 에디션 appeared first on AppsFlyer.

]]>
[앱스플라이어 X RTB HOUS] 더 나은 커머스 경험을 위한 마테크 활용법 https://www.appsflyer.com/ko/resources/reports/webinar-with-rtbhouse/ Thu, 02 Nov 2023 08:03:35 +0000 https:////www.appsflyer.com//?post_type=resource&p=384779 AppsFlyer | RTB HOUSE Webinar

웨비나 소개 본 웨비나에서는 주요 마테크 솔루션인 앱스플라이어를 통한 효과적인 마케팅 성과 향상에 대해 살펴보고, RTB HOUSE의 차별화된 리타겟팅 전략에 대한 내용을 다뤘습니다. 웨비나를 시청하시고, 이커머스 마케팅의 성과 개선을 위한 자세한 마테크 솔루션 활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세요. *등록과 동시에 앱스플라이어의 개인정보보호정책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앱스플라이어가 발송하는 행사 안내, 뉴스 레터, 제품 및 서비스 메일을 수신하실 […]

The post [앱스플라이어 X RTB HOUS] 더 나은 커머스 경험을 위한 마테크 활용법 appeared first on AppsFlyer.

]]>
AppsFlyer | RTB HOUSE Webinar

웨비나 소개

본 웨비나에서는 주요 마테크 솔루션인 앱스플라이어를 통한 효과적인 마케팅 성과 향상에 대해 살펴보고, RTB HOUSE의 차별화된 리타겟팅 전략에 대한 내용을 다뤘습니다.

웨비나를 시청하시고, 이커머스 마케팅의 성과 개선을 위한 자세한 마테크 솔루션 활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세요.

*등록과 동시에 앱스플라이어의 개인정보보호정책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앱스플라이어가 발송하는 행사 안내, 뉴스 레터, 제품 및 서비스 메일을 수신하실 수 있습니다.

웨비나 구성

[앱스플라이어]

앱스플라이어를 활용한 커머스 마케팅의 정석

  • 오디언스 데이터 활용
  • 자동화된 원링크로 유저 고유의 경험 제공하기
  • Web to app 유저 분석 시나리오

[RTB HOUSE]

알수록 매력적인 마케팅 전략, 멀티 리타겟팅

  • RTB HOUSE 딥러닝으로 성과 개선
  • 멀티 리타겟팅의 이점, 그리고 오해와 진실
  • 멀티 리타겟팅 전략을 위한 필요 조건

연사 소개

  • 김혜연 앱스플라이어 그로쓰 매니저
  • 최성웅 RTB HOUSE Sales Director
  • 홍혜경 RTB HOUSE Sales Enablement Specialist

The post [앱스플라이어 X RTB HOUS] 더 나은 커머스 경험을 위한 마테크 활용법 appeared first on AppsFlyer.

]]>